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나이키 메트콘
- 헬스장 신발
- 조던1 로우
- 베오릿17
- 스토바
- 뉴발란스 2002
- 나이키 챌린저 OG
- 네스프레소
- 넥서스4
- 엔드클로딩 반품
- 리복 나노
- nexus4
- 뉴발란스 327
- 덩크 로우
- 헬스 그립
- 블루투스 스피커
- 반스
- 에어팟 프로
- STOWA
- 뉴발란스
- 갤럭시 S20 플러스 케이스
- 기계식 키보드
- 크로아티아
- 나이키
- 스위스
- 네덜란드
- 포르투갈
- 암스테르담
- 뉴발란스 990V2
- 리스본
- Today
- Total
Mist
가장 가벼운 S20 플러스 케이스를 원한다면, 제로스킨 스키니매트 본문
갤럭시 S20 플러스 삼성 정품 크바드라트 케이스
7년만에 삼성 핸드폰을 구입하게 되었네요. 요즘 삼성 핸드폰은 투명 케이스가 동봉되어 있기 때문에 구입하자마자 바로 케이스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투명 케이스의
dmwriter.tistory.com
질감, 고급감, 마감, 모두 아쉬움이 없었던 삼성 정품 크바드라트 케이스을 약 3일째 쓰고 있었습니다.
무려 3일만에... 크바드라트 케이스의 문제점을 두 가지 알게 되었습니다.
1. 무게
갤럭시 S20 플러스 186 g + 케이스 21 g 도합 207 g의 무게는 확실하게 손에 부담이 됩니다.
200 g이 넘는걸 손에 드는건 좋은 선택이 아닌 것 같습니다.
무거운 갤럭시 S20 플러스의 태생적인 한계 때문에 점점 손에 폰을 쥐고 딴짓을 하는 일이 줄어들게 됩니다.
밤마다 손가락이나 손목이 시큰할 때도 있었습니다 ;;
옷 주머니가 축 처지는건 뭐 말할것도 없구요...
21 g 이면 폰 무게가 11%가 증가하게 되는 셈입니다 ㄷㄷㄷ
2. 두께
무게와 더불어 같이 문제가 되는건 바로 두께입니다.
크바드라트 케이스를 끼우면 두께는 7.8 mm에서 10.6 mm가 됩니다.
무려 35%나 증가하게 되는 셈입니다. 체감이 확 됩니다.
폭도 73.7 mm에서 77.1 mm로 소폭 증가합니다. 약 4.6%입니다.
한손에 꽉 잡히는 두꺼워진 폰, 게다가 무게까지 무겁게 느껴지니 많은 불편함을 초래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아예 가장 가볍고 가장 얇은 케이스를 구매해보았습니다.
바로 제로스킨 스키니매트 케이스입니다.

제로스킨 스키니메이트 케이스는
무게는 약 3 g (갤럭시 S20기준이기 때문에 S20 플러스의 경우 조금 더 무거울 것으로 보입니다.)
두께는 0.4 mm로 아주 슬림합니다.
그만큼 폰의 보호력은 떨어지지만 일단 손에 쥐고 있을 때의 부담감이 체감이 될 정도로 차이가 납니다.
21 g의 크바드라트 케이스를 끼우면 폰 무게가 약 11% 증가하는 셈이었지만
3 g의 제로스킨 스키니메이트를 끼우면 무게가 약 1.6%만 증가하는 셈입니다.
설사 5 g의 무게라해도 약 2.7 % 증가입니다.
두께는 말할것도 없습니다.
크바드라트 케이스를 사용하면 10.6 mm의 두께지만
제로스킨 스키니메이트를 사용할 경우 폰 두께 7.8 mm에 0.4 mm가 더해져 8.2 mm의 두께를 갖게 됩니다.
크바드라트에서 35% 증가하던 두께가 5% 만 늘어나게 됩니다. 로 굉장한 감소를 보입니다.





얇지만 버튼보다 살짝 올라온 케이스 때문에 버튼 위치를 확실하게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갤럭시 S20 플러스는 볼륨버튼과 전원 버튼이 같은쪽에 있기 때문에 한동안은 버튼 누르는걸 헷갈릴 것 같습니다.
적응이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제로스킨 스키니매트 케이스는 장단점이 극명한 케이스입니다.
장점으로는
1. 현재 판매하는 제품중 가장 가벼운 무게 (약 3~4 g)
- 무게 증가가 체감이 안되는 수준입니다.
2. 매우 얇은 두께
- 역시 두께 변화가 체감이 안되는 수준입니다.
3. 저렴한 가격
- 8천원대로 저렴해서 구매하는데 부담이 없습니다.
단점으로는
1. 얇은 두께에서 오는 없다시피 한 보호력
- 생활 스크래치만 막아준다 생각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특히 전면은 보호력이 아예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2. 걱정되는 내구성
- 재질은 폴리 카보에니트지만 볼륨, 전원버튼 이음새 부분은 매우 얇게 이어져 있어서 케이스 탈착을 여러번 하거나, 쓰다보면 끊어질 것 같습니다.
3. 볼륨버튼과 전원 버튼을 구분하기 어려움
- 위에서 언급 한 것처럼 적응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적응되면 단점으로 보긴 어렵겠네요.
4. 화면보다 케이스가 아래에 있기 때문에 보호필름을 좀 두꺼운걸 사용하고 화면 좌우에서 스와이프를 하는 경우 손가락이 보호필름 테두리에 걸릴 수 있음
- 네비게이션바 설정을 스와이프 제스처가 아닌, 버튼을 이용하시면 이 문제는 경험하기 어려우실수도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평가론
폰을 자주 떨어트리시는 분들이라면 조금 무겁도 두껍더라도 기존 형태의 케이스를 사용하시는게 좋을 것 같고
자주 안떨어트리시는 분들이라면 가볍고 슬림한 제로스킨 스키니매트 케이스를 사용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요?
저는 스키니매트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핸드폰 보험 가입해놓구요 ㅎ
미안하다 크바드라트 케이스야 ㅠㅠ
'Review 들 > Thi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버스X몽클레르X프라그먼트 척70 (0) | 2020.11.14 |
---|---|
이제는 구할 수 없는 갤럭시 S20 플러스 슈피겐 씬핏 케이스 (0) | 2020.11.10 |
갤럭시 S20 플러스 삼성 정품 크바드라트 케이스 (0) | 2020.10.17 |
바밀로 VA87M 모노그레이 저소음 적축 키보드 개봉기 (3) | 2020.10.16 |
헬스장 신발로 강추!! 리복 나노X (4) | 2020.08.17 |